독기17 Immanuel Kant, 『윤리 형이상학 정초』 Immanuel Kant, 『윤리 형이상학 정초(Grundlegun zur Metaphysik der Sitten)』, 백종현 역, 아카넷, 2005. 머리말 (1) 이성인식의 구별 ① 질료적 이성인식: 어느 객관의 고찰. 특정한 대상들과 그 대상들이 종속되는 법칙들을 다루는 질료적 철학 ⓐ 물리학 - 자연의 법칙을 다룸, 자연이론. 경험 대상인 자연에 법칙들 규정함. ⓑ 윤리학 - 자유의 법칙을 다룸, 윤리학. 자연에 의해 촉발되는 의지에 법칙들 규정함. ② 형식적 이성인식: 객관들의 구별 없이, 순전히 지성과 이성 자신의 형식 및 사고 일반의 보편적 규칙들 다룸 ⓒ 논리학: 형식적 철학. 사고의 보편적이고 필연적인 법칙들은 경험에서 취한 근거들에 의존할 수 없으므로 어떤 경험적 부분도 가질 수 없다... 2010. 4. 6. 장 자크 루소, 『인간 불평등 기원론』 장 자크 루소, 『인간 불평등 기원론』, 주경복, 고봉만 역, 책세상, 2003. 머리말 이 논문의 주제를 철학이 제안할 수 있는 가장 흥미로운 문제의 하나로, 그리고 우리에게는 불행한 일ㅇ지만 철학자들이 해결하기에 가장 까다로운 문제의 하나로 본다. 인간 자체를 알지 못하면 인간들 사이에 존재하는 불평등의 기원을 알 수 없기 때문이다. p. 35. 더욱 견디기 어려운 것은, 인류의 모든 진보가 인간을 끊임없이 원시 상태에서 멀어지게 하기 때문에 우리가 새로운 지식을 축적할수록 모든 지식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을 획득하는 수단이 상실된다는 점이다. p. 34. 사람들을 구별하는 차이의 기원을 인간 구조의 변화 속에서 찾아야 한다는 것은 누구나 쉽게 알 수 있다. 누구나 인정하는 바와 같이 인간은 본래 서.. 2010. 3. 29. 에드워드 윌슨, <<인간의 본성에 대하여>> 에드워드 윌슨, [책의 구절들] 인간의 사회적 행동이 유전적으로 결정되는가 하는 문제는 이제 더 이상 질문거리도 되지 않는다. 문제는 어느 정도인가 하는 것이다. p.46 유전적으로 결정된 형질이란 최소한 하나 이상의 유전자가 존재함으로써 다른 형질들과 구별이되는 형질을 말한다. p. 46 이런 사실은 인간의 사회적 행동이 유전적 토대 위에 있다는 가설, 더 정확히 말하면 인간의 행동이 근연 관계에 있는 종들과 공유하고 있는 일부 유전자와 인간 종 고유의 유전자로 조직된다는 가설과 일치한다. p. 63 유전자 가설의 핵심은 신다윈 진화론에서 직접 이끌어낸 명제, 즉 인간 본성을 형성하는 형질들은 인간 종이 진화해 온 기간만큼 적응을 거쳐왔고, 그 결과 유전자들은 그 형질들의 발달 성향을 지닌 운반체 집단.. 2010. 3. 15. 한스 페터 마르틴, 하랄트 슈만, <<세계화의 덫>> 제 1 장 20대 80의 사회 폐어몬트 호텔에 모여 국제회의를 열고 있는 이 세계적인 실용주의자들은 인류의 미래를 한 마디로 표현한다. 그것은 라는 말과 '티티테인먼트tittytainment'라는 말이다. 라는 말은, 다가오는 21세기에는 노동 가능한 인구 중에서 20%만 있어도 세계경제를 유지하는 데 별 문제가 없다는 말이다. 무역귀족 출신 워싱턴 시싶은, "더 이상의 노동력은 필요 없다."라고 잘라 말한다. 일ㅇ자리를 구하는 사람들 다섯 중 하나면 모든 상품을 생산하고 값어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기에 충분하다. 이 20%의 살마들은 국적을 불문하고 돈벌이나 소비생활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간혹 1~2% 정도의 다른 사람들은 운 좋게 상속을 받아 이 대열에 추가로 낄 수 있게 될 것.. 2010. 3. 15. 찰스 P. 킨들버거의 "광기, 패닉, 붕괴: 금융위기의 역사" 찰스 P. 킨들버거의 "광기, 패닉, 붕괴: 금융위기의 역사" 경제사가인 찰스 킨들버거의 이 저서는 금융위기가 어떻게 발생하는지 그 과정을 역사적 자료들을 통해 설명하고 있다. 역사서들이 대개 그렇지만, 이 책 역시 많은 사료들로 인해, 배경지식이 없을 때는 그 사료들에 압도되는 측면이 있다. 그러나 끝까지 읽다 보면 그리 문제될 것은 없다. 유사한 또는 동일한 사례들이 반복되기 때문이다. "거품은 터지기 마련이다. 거품은 그 의미 자체로 지탱할 수 없는 가격변동이나 현금흐름을 동반하기 때문이다." 23쪽 (1990년대 일본의 자산가격 거품 붕괴 이후 10년이 넘는 경제성장의 정체, 1990년대 후반 태국에서 비롯된 동아시아의 주가 폭락, 2000년 미국의 주식시장 거품 붕괴) "이들 개별 통화의 시장환.. 2010. 3. 14. 이전 1 2 3 다음